top of page
Search

성공하는 CG 애니메이터의 3가지 공통점

  • 장쌤
  • Aug 18, 2017
  • 4 min read

* 이 게시물은 장쌤 개인의 생각입니다. *

* 본 게시물의 내용을 퍼갈시에는 출저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출저 홈페이지 주소인 https://ysjanimation.wixsite.com/main/blog 기재 부탁드립니다. 좋은 블로깅 문화 화이팅!*

우선 장쌤에 대한 간단한 소개를 하고 본 내용으로 넘어갑시다. (게시물 내용을 이해하는데 더 도움이 될 겁니다.)

장쌤(본명: 장영수)은 2007년 미국 Academy of Art University에서 애니메이션 학사로 졸업을 하고나서 일을 하면서 온라인 애니메이션 학교 Animation Mentor에서 공부를 보충했고 또 프랑스의 Gobelins, l'ecole de l'image 이라는 곳에서 CG 애니메이터 과정을 수료 받았으며 계속적으로 교육을 온라인으로 공부하면서 한국에 현재 거주하고 있는 CG 애니메이터이자 애니메이션 선생입니다.

경력은 미국, California에서 Epsodic LLC이라는 작은 회사에서 게임 시네메틱 애니메이터로 처음 일을 시작했고 그후 프랑스, Paris 에서 Delacave라는 애니메이션 회사에서 극장판 애니메이터로 일을 하다가 한국으로 들어와서 쿵푸팬더 티비 시리즈외에 다른 극장판 애니미에션에서도 일을 했으며 싱가폴에서도 Lucasfilm Animation에서 극장판 애니메이터로 일을 했습니다.

교육자 경력은 대학교, 대형학원, 소형학원, 온라인등으로 가르친지 이제 3년이 좀 넘어가는 것 같은데 수백명의 학생들을 가르치면서 교육에 대한 시각이 나름 넓어졌습니다.

교육을 여기저기서 많이 받아봤고 경력도 여러 나라에서 다양하게 일을 해봤기 때문에 어느정도 이 주제에 대해서도 객관적인 답변을 드릴 수 있을 것 같아 시도해봅니다.

보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됐으면 좋겠습니다. ^^

1. 능동적이고 긍정적인 의사소통 능력

가장 중요한 요소입니다.

사회 생활을 한다면 어떤 분야에서 일을 하든 의사소통을 못하면 좋은 작업자가 되긴 힘듭니다.

그렇다면 우수한 의사소통 능력이란 뭘까요? 눈치? 가식? 허세? 자신감?

아닙니다. 사회 생활 하다보면 그렇게 보일때도 있을 수 있지만(특히 국내에서는) 장기적으로 봤을때 성공하는 사람들은 능동적이고 긍정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갖고 있다는 공통점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 주장의 근거는 제가 CG 애니메이션 업계에서 15년 동안 종사하면서(공부기간 포함) 주변에 인맥들/친구들/경쟁자들/기타등등 모든 업계 동지들이 이직/퇴직/계급상승/업계떠남 등을 쭈우~욱 소식을 전해 듣고 봐오면서 느낀 성공하는 CG 애니메이터들의 공통점이었기 때문에 자신감있게 말을 할 수 있습니다.

이 요소는 실력보다 더 중요합니다.

그럼, 능동적이고 긍정적인 의사소통 능력에 대해서 좀 더 자세하게 설명 들어갑니다.

예제가 있어야겠죠?

싱가폴에있는 루카스필름 애니메이션에서 일을 했을때 경험담을 들려드리겠습니다.

좋은 예제와 안 좋은 예제 하나씩 보겠습니다.

좋은 예제: 제 슈퍼바이져였던 애니메이터인데 첫날부터 저에게 다가와서 <괜찮냐?>, <첫날이라 긴장 할 필요없다. 시간 지나면 금방 익숙해진다> 등등의 말을 웃으면서 해주었습니다. 굉장히 큰 위로가 됐고 더 중요한건 문제가 생길때 물어보고 싶은 사람이 생겨서 적응을 더 빨리 하고 회사의 작업 속도에 방해가 안 되게 도움이 많이 됐습니다. 궁금한거는 바로 바로 물어봤습니다.(적당히 너무 많이 안 하려고 눈치보면서) 그럴때마다 성심성의껏 답변을 해줬습니다. (매번, 일을 하는 기간 내내)

덕분에 저는 적응을 굉장히 빨리했고 데드라인을 한번도 놓친적이 없었습니다. 그건 제 능력 때문이라기 보다는 좋은 슈퍼바이져를 만나서 그리고 주변에 좋은 직장동료들이 저에게 많은 도움을 부담없이 자연스럽게 잘 줬기 때문입니다.

안 좋은 예제: 저와 같이 들어온 직장 동료 한명이 있었는데 들어올땐 괜찮아 보였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이런 저런 작업과 회사에 대한 불만이 쌓이면서 회의때마다 너무 부정적이면서 슈퍼바이져와 감독을 낮추는 말들도 서슴없이 해나갔습니다. (덕분에 회의 분위기 싸아해짐)

문제가 있다고 느끼는게 문제는 아니지만 그걸 표현 하는 의사소통 능력이 너무 질이 안 좋아서 주변 사람들이 도와주고 싶게 만들기 보단 피하고 싶게 만들 정도였습니다.

결국 그 사람은 금방 짤렸습니다.

그외에도 아무 말없이 작업만 하는 타입의 사람도 좋은 예제라고 말하긴 어렵습니다. 왜냐하면 말을 안 하는 분위기 자체가 문제를 얘기하거나 풀어나가려는 것에 방해가 되기 때문이죠.

능동적이고 긍정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가진 사람들이 모이면 문제는 즐거워지고 빨리 빨리 해결 혹은 가장 좋은 케이스는 예방이 됩니다.

안 좋은 의사소통 능력을 가진 사람들이 모이면 문제가 커지고 쌓여서 결국 터지게 됩니다.

2. 항상 자신의 실력을 더 발전하려고 노력하는 장인 정신

의사소통 능력 다음으로 중요한 것입니다. <어떻게 실력이 2번째로 중요하냐???> 할 수도 있지만 사실입니다. 실력이 좋아서 운 좋게 성격이나 의사소통 능력이 안 좋아도 취업한 사람들을 옆에서 봤지만 금방 짤리고 좁은 업계에서 갈 곳을 잃는 케이스들도 자주 봤기 때문에 이렇게 말을 할 수 있는 겁니다.

단, 실력이 없으면 의사소통 능력이 좋아도 결국 짤리긴 마찬가지겠죠?

실력이 있다하더라도 안심하고 정지된 상태로 작업만 하는 사람들의 최후도 좋진 못했습니다.

경력자들 중에서 그런 케이스도 꽤 봤습니다. 작업을 잘 하는 편이고 실력도 나쁘진 않지만 관리자 역할인 슈퍼바이져가 되고나서부터 딱히 실력이나 능력이 나아지진 않아서 회사에서 오랫동안 일을 하다가 결국 더 젊고 더 빠르게 일하는 사람에게 자리를 빼앗기고 물러나는 안타까운 일들도 의외로 자주 봤습니다.

물론 이건 회사의 문제이기도 하지만, 자유 경쟁시대에 누구에게 책임을 물어봤자 결국 자기 자신을 책임질 사람은 자기 자신 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꾸준한 자기 발전과 배움을 받으면서 작업도 하는 사람만이 계속적으로 업계에 일을 하며 비교적 안정적으로 살 수 있다는 결론이 나오게 되는거죠.

실제로 일을 하면서 집에가서 저녁에 온라인 강의 듣는 애니메이터들도 많습니다. (ㄷㄷㄷ무서운 사람들)

3. 모르는 사람들을 찾아 나서면서 새로운 인맥을 만들어 나가려는 소셜 네트워킹 스킬

새로운 인간관계는 발전의 기반이 될 수 밖에 없습니다.

본인의 성격과 안 맞다해서 안 하거나 나서는 것을 싫어하거나 얼굴 보이기 민망해서 활동적이지 못한 경우도 많이 봐왔는데 이 업계에서 살아남으려면 그리고 더 중요한 것은 발전을 하고 싶으면 이 능력은 선택사항이 아닙니다.

저는 좋은 평가를 받고있거나 큰 애니메이션 회사에서 감독이나 슈퍼바이져 역할을 하거나 했던 사람들에 대해서 검색을 자주하는 편입니다.

개인 블로그 혹은 지인을 통해서 새로운 사람들을 자주 만나고 지금까지 온 여정을 캐묻는 편입니다. (궁금해서)

그러면서 알게 된게 뭐냐하면 대부분의 성공한 케이스들은 소셜 네트워킹 능력이 탁월하다는 것입니다.

저 역시 이런 능력이나 성격이 타고난 케이스는 아니었습니다.

처음엔 많이 쑥스러워 했고 불편을 넘어선 패닉 상태에 일으기까지도 했지만 취업과 생존을 생각하면서 (월세내야 된다!) 계속적으로 실패를 겪으면서 노력을 했습니다.

Siggraph, FMX, Annecy Festival, COMIC CON, BISAF등 많은 CG 애니메이션 관련 컨퍼런스, 취업박람회등을 참여하면서 계속적으로 새로운 사람들과의 네트워킹 기회를 찾으려고 노력을 했고 솔직하게 얘기하자면 95%는 전부 저에게 얼굴에 문이 닫히듯 실패로 돌아왔습니다.

하지만, 그 남은 5%들은 시간이 지나면 쌓입니다.

그리고, 경력이 쌓이면서 그 5%들은 나중에 무서운 소셜 네트워킹 힘을 발휘하게 되죠.

장기적인 투자라고 생각해도 됩니다. 절대로 후회가 안 되는........

이상 내용을 맞치겠습니다.

많은 도움이 됐으면 좋겠네요! ^^

-장쌤-

 
 
 

Commentaires


추천 게시물
최근 게시물
보관
태그 검색
공식 SNS 페이지
  • Facebook Basic Square
  • Twitter Basic Square
  • Google+ Basic Square
  • Grey LinkedIn Icon
  • Grey Vimeo Icon
  • Grey Instagram Icon
  • Grey Blogger Icon

© 2015 -2021 David Jang.  ALL RIGHTS RESERVED

bottom of page